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서울시 출산 육아 지원금 Ato Z 모아보기

by 안경쓴고양이 2025. 5. 7.
반응형

2025년 서울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출산장려금, 산후조리비, 보육료 지원 등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.


👶 1. 출산장려금 지원

서울시는 자녀 수에 따라 출산장려금을 지급합니다.

  • 첫째 아이: 300만 원
  • 둘째 아이: 400만 원
  • 셋째 이상: 600만 원

신청 방법: 출생 신고 후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

자치구별 추가 지원: 일부 자치구에서는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므로, 해당 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
🏠 2.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

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월 30만 원씩 2년간(총 720만 원) 주거비를 지원합니다.

지원 대상:

  •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가구
  • 서울시 거주 무주택 가구
  •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

신청 방법: '몽땅정보 만능키' 누리집(https://umppa.seoul.go.kr)에서 온라인 신청 


🍼 3. 산후조리비 및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
  • 산후조리비 지원: 단태아 100만 원, 쌍태아 200만 원, 삼태아 300만 원 바우처 지급
  •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: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 제공

신청 방법: 서울맘케어(www.seoulmomcare.com)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 


🎒 4. 보육료 및 아동수당 지원

  • 보육료 지원:
    • 국공립 어린이집: 전액 지원
    • 민간 어린이집: 90% 지원
  • 아동수당: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20만 원 지급

신청 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 


👨‍👩‍👧 5. 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 출산급여 지원

고용보험 미적용자인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출산급여를 지원합니다.

  • 임산부 출산급여: 기존 고용보험 지원 150만 원 + 서울시 추가 지원 90만 원 = 총 240만 원
  • 다태아 산모: 총 320만 원 지원
  • 배우자 출산휴가급여: 최대 80만 원 지원

신청 방법: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(https://umppa.seoul.go.kr)에서 온라인 신청 


📚 6. 기타 지원 제도

  • 임산부 교통비 지원: 70만 원 바우처 지급
  •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: 임신 회당 최대 50만 원 지원
  • 유축기 무료 대여: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
  •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: 체외수정 및 인공수정 시술비 일부 지원

신청 방법: 서울시 임신·출산정보센터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 


문의처:

  • 서울시 다산콜센터: 120
  • 서울맘케어: www.seoulmomcare.com
  • 복지로: www.bokjiro.go.kr

서울시는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을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. 각 지원 제도의 신청 기간과 방법이 상이하므로, 관련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시어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