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우리 아이 보육비 지원 정책 한 눈에 정리

by 안경쓴고양이 2025. 5. 7.
반응형

2025년 현재 서울시와 정부는 영유아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다양한 보육비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지원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와 가정에서 직접 양육하는 경우로 나뉘며, 부모님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아래에 주요 보육비 지원 정책을 정리해 드립니다.


👶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지원

서울시에서는 만 0세부터 5세까지의 영유아가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,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보육료를 지원합니다. 2025년 기준 지원 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:

 

0세반 (2024.1.1. 이후 출생) 540,000원 810,000원
1세반 (2023.1.1.~2023.12.31.) 475,000원 712,500원
2세반 (2022.1.1.~2022.12.31.) 394,000원 591,000원
3~5세반 (2019.1.1.~2021.12.31.) 280,000원 420,000원


※ 위 금액은 월 기준이며, 어린이집 이용 시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결제됩니다. (seoul.childcare.go.kr)


🏠 가정 양육 시 지원

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직접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, 다음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:

  • 가정양육수당: 만 24개월 이상부터 취학 전까지의 아동을 가정에서 양육하는 경우, 월 10만 원의 양육수당을 지원받습니다.

  • 부모급여: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0~1세 영아를 양육하는 경우, 소득과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부모급여를 지원받습니다:
    • 0세: 월 100만 원
    • 1세: 월 50만 원

※ 부모급여와 가정양육수당은 중복 지급되지 않으므로, 하나의 지원만 선택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. 


🧒 장애아동 보육료 지원

장애아동의 경우, 어린이집을 이용할 때 다음과 같은 보육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:

  • 지원대상:
    • 장애인 복지카드를 소지한 만 12세 이하 미취학 장애아
    • 장애진단서를 제출한 만 5세 이하 장애아
    • 발달지체를 보이는 특수교육대상자로 만 4~5세 장애아
  • 지원금액: 월 394,000원

※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전액 지원됩니다. 


📌 신청 방법 및 문의처
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문의처:
    • 보건복지상담센터: 129
    • 서울시 다산콜센터: 120

이러한 보육비 지원 정책은 영유아를 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,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. 각 가정의 상황에 맞는 지원을 확인하시고,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